Skip to main content

(막 15:8) 무리가 나아가서 전례대로 하여 주기를 요구한대
(막 15:9) 빌라도가 대답하여 이르되 너희는 내가 유대인의 왕을 너희에게 놓아 주기를 원하느냐 하니

빌라도는 예수님을 심문하고 죄가 없음을 확신한다. 시기하는 사람들의 함정임을 직감했다. 경쟁상대라고 생각한 대제사장들의 시기심이 더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 어떻게 해서든지 예수님을 풀어주고자 한다. 방법을 찾고 해결책을 향해 나아간다. 명절마다 죄수 한 사람을 풀어주는 전례를 활용하면 되겠다고 생각한다. 사람들도 당연히 예수님을 풀어주길 원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무리가 빌라도에게 전례대로 해 주기를 요구한다. 빌라도는 자기 생각과 일치한다고 생각했다. 빌라도도 전례를 사용해 예수를 풀려주려고 했다. 종교 지도자들은 ‘바라바’를 풀고자 한다. 예수님과 비교가 되지 않는 악한 사람이다. 체제 전복, 즉 반란을 시도한 사람이고, 살인자이다. 로마의 입장에서 보면 처형해야 할 최우선 순위의 사람이다.

하지만 반란을 시도한 바라바는 유대인의 관점에서 애국자였을 것이다. 사회적 분란을 일으키고 악행하는 것은 문제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유익한 사람으로 생각했을 것이다. 바라바는 이것을 놓쳤다. 그리고 대제사장과 종교 지도자들이 얼마나 악하고 빠르게 움직이는 사람인지 잘 몰랐다. 권력을 가진 자이기에 자기 뜻대로 될 것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예수님을 시기와 질투로 넘겨준 줄 알고 풀어주기 위해 묻는다. “너희는 내가 유대인의 왕을 너희에게 놓아 주기를 원하느냐?” 빌라도는 속에 품고 있는 생각을 드러낸다. 예수를 풀어주고 싶다고 공개적으로 선포한 것이다. 이런 속셈을 알게 된 대제사장들은 가만히 있지 않는다. 군중의 힘을 이용하여 사람들을 충동한다. 사람들은 “바라바를 풀어달라”고 강력하게 소리 지른다.

영적 분별력이 필요하다. 옳고 그름이 흔들리면 안 된다. 나와 같은 방향을 바라보고, 같은 행동을 하는 사람인가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진리를 행하는 것이다. 대제사장들은 빌라도와 생각이 달랐다. 빌라도의 동상이몽(同床異夢)은 실패로 끝난다. 사탄은 어떻게 해서든지 우리를 넘어뜨리려 한다. 사탄의 유일한 관심사는 죽이고 멸망시키는 것이다. 우리를 ‘위하는 척’하지만 다 속임수이다.

사탄의 공격에 안일하게 생각하면 안 된다. 깨어 기도하며 영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강력한 사탄의 권세를 깨뜨릴 수 있는 힘은 하늘로부터 내려온다. 하나님의 도우심을 구해야 한다. 사탄을 물리치는 것도 내 힘이 아니다. 이미 사탄의 정수리를 가격하고 승리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물리쳐야 한다. 사망권세 깨뜨리고 부활하시는 주님의 능력만이 승리의 비결이다.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교훈하신 것처럼 깨어 있어야 한다. 하나님이 주시는 말씀을 마음 중심에 새기고, 기도로 깨어 있어야 한다. 하나님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그래야 영적 분별력이 살아나고, 사탄의 유혹을 분별할 수 있다. 일상 중에 자연스럽게 다가오는 유혹들을 물리칠 수 있는 실력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주님이 본을 보여주신 것처럼 십자가의 길을 가야 한다.

부르신 소명의 길, 십자가의 길은 우리가 반드시 걸어가야 할 길이다. 자주 다가와 우리의 발목을 붙잡고 넘어지도록 공격하는 사탄을 이겨낼 하늘의 은혜를 구하며 하루를 살기 원한다. 내 생각에 사로잡혀 모든 것이 생각한 대로 될 것이라고 착각하지 않아야 한다. 내 생각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찾고, 그 뜻대로 이루어지길 갈망해야 한다. 오늘도 하늘의 은혜와 긍휼을 간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