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눅 23:22) 빌라도가 세 번째 말하되 이 사람이 무슨 악한 일을 하였느냐 나는 그에게서 죽일 죄를 찾지 못하였나니 때려서 놓으리라 하니

빌라도는 예수님을 심문했지만 고소한 사람들의 말과 같은 죄는 없었다. 빌라도는 죄 없음을 확인했기에 헤롯에게 보내어 심문을 받게 했다. 자신의 판결이 잘못인지 확인하고 싶었을 것이다. 아무런 조치도 없이 예수님에 대한 고소 사건이 자신에게 돌아왔을 때 심문 결과는 동일했다. 그런데도 빌라도는 결국 예수님에게 사형 선고한다. 무엇이 빌라도를 넘어지게 했을까?

사탄은 자신의 목적을 달성할 때까지 우리를 공격한다. 사탄은 우리의 약점을 공격한다. 빌라도의 약점은 사람들의 마음이었다. 정치인으로서 민심, 사람들의 인기가 필요했다. 군중의 필요도 채워주고 예수님도 풀어줄 수 있는 묘수를 찾지만 해결되지 않는다. 오히려 군중은 예수가 아니라 민란을 선동한 바라바를 선택했다. 악과 타협하면 안 된다.

죄가 없음을 확인했다면 무죄를 선언하고 풀어주면 된다. 빌라도는 우유부단했고, 그렇게 결정을 내릴 용기가 없었다. 자신의 권한과 권리를 정의를 위해 사용하지 못한다. 빌라도는 예수님이 죄 없음을 확인했기 때문에 매질을 한 후에 풀어주겠다고 말을 한다. 그래도 고소했으니 그 고소에 대한 책임을 조금만 물어서 매질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죄가 없는 사람을 때려서 놓으면 안 된다. 죄가 없는 사람에게 형벌을 가하면 안 된다. 세상의 법정은 무죄를 선고하려 하는데 종교지도자들이 무리를 선동하여 사형 선고를 요구한다. 유대인의 종교 법정이 세상 법정보다 더 악하고, 불의하다. 왜 세상보다 더 공의로워야 하는 교회가 더 악하고 불의하게 행동하는가? 사탄의 유혹과 훼방 때문이다.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은 진리의 말씀을 따라 사는 것이다. 적당히 세상과 타협하고 신앙생활을 하려 하면 반드시 넘어지게 되어 있다. 죄는 성도를 넘어뜨릴 때까지 포기하지 않는다. 하루를 살아갈 때 사탄의 유혹에 넘어지지 않도록 진리 안에 깨어 있기를 소망한다. 믿음의 결정을 해야 할 때 세상의 소리에 흔들리지 않기를 기도한다. 적당한 타협을 내려놓고, 하나님의 자녀다운 거룩함과 화평함을 추구하며 살기를 소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