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15:26) 그 위에 있는 죄패에 유대인의 왕이라 썼고
예수님이 십자가에 처형당하셨다. 처형하는 이유를 기록한 패를 십자가 위에 붙였는데 그것이 죄패이다. 그러니 죄패는 죄명, 죄목을 뜻한다. 마음을 무겁게 하는 단어이다. 우리가 생활하며 지나가는 자리에도 흔적이 남는데 그 흔적이 어떨까? 한 사람이 떠난 후 그를 기억하는 사람들이 묘비에 글을 남기는 것처럼 나의 묘비에는 어떤 기록이 될까?
예수님의 십자가에는 (나사렛 예수)‘유대인의 왕’(예수)이라 썼다. 사람들은 그것을 죄목이라 붙였다. 그러나 하나님은 죄인들의 행위를 통해 진리를 선포하신다. 참으로 예수님은 유대인의 왕이시다. 이 땅에서 하나님 백성을 불러 모으시기 위해 십자가에 달리셨다. 특별한 사람만을 위한 왕이 아니라 십자가의 구속을 믿는 모든 사람을 다스리는 왕이시다. 만왕의 왕이시다. 우리 모두의 왕이시다.
수치스러운 죄패이지만 진리를 증거 하는 증거물이 되었다. 하나님의 일하심을 만난다. 역사를 주관하며 섭리하시는 하나님이시다.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의 행동일지라도 사용하신다. 모든 것을 합력하여 선을 이루신다는 말씀의 의미를 다시 새긴다. 모든 것을 섭리하셔서 하나님의 뜻을 완성해 가신다.
내가 떠난 그 자리에는 어떤 패가 붙여질까? 마지막 떠나는 순간까지 진리를 선포하며 모든 것을 아낌없이 내어주신 주님을 기억한다. 나의 삶을 통해 행하길 원하시는 것을 무엇일까?
하나님은 신(神)이시다. 세상 만물을 창조하신 하나님이시다. 내가 떠난 후에 무엇이 남겨지든, 무엇이 기록되든 그것도 사용하실 수 있다. 그렇다면 마음이 평안해진다. 자유함이 생긴다. 무엇이 남을 것인지 걱정할 필요가 없다. 주님께서도 십자가에 무엇을 붙여달라고 요청하지 않으셨다. 묵묵히 자신에게 주어진 사명의 길을 걸으셨다.
나를 향하신 하나님 아버지의 뜻, 나를 부르신 부르심의 소명을 되새긴다. 그 소명을 따라 주님처럼 묵묵히 길을 가고 있는가? 그 걸음을 기억하는 사람들은 어떻게 표현할까?
그날을 생각하며 오늘을 되돌아보며 행동하길 원한다. 그래야 조금이라도 주님 닮아갈 수 있지 않을까. 넘어진다면 넘어진 그 자리에서 은혜를 구하며 주님 닮고자 다시 일어서길 소망한다. 나도 주님 걸어가신 길을 따라가길 소망한다. 조금이라도 흉내 내 볼 수 있기를 소망한다. 고난 주간만이 아니라 남은 생애에…
“상처 입은 치유자”라는 단어가 생각난다. 주님은 상처를 입고 십자가에 달리셨고, 온갖 조롱과 수치를 당하고 상처 입은 채 달리셨다. 그런데 그 상처가, 그 십자가가 나를 치유하고 살려내었다. 오늘을 살게 한다. 그래서 나도 주님처럼 내게 주어진 십자가를 지고 따라갈 때 상처 입은 치유자가 되길 원한다. 예수님을 닮은 향기가 묻어나는 삶, 바로 그 길을 따라가길 소망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