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10) 우리가 너희와 함께 있을 때에도 너희에게 명하기를 누구든지 일하기 싫어하거든 먹지도 말게 하라 하였더니 11) 우리가 들은즉 너희 가운데 게으르게 행하여 도무지 일하지 아니하고 일을 만들기만 하는 자들이 있다 하니 12) 이런 자들에게 우리가 명하고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권하기를 조용히 일하여 자기 양식을 먹으라 하노라”(살후 3:10-12)

데살로니가 교회에 종말에 대한 잘못된 신앙이 있었다. 주님이 곧 재림하실 것이니 일하지 말고 신앙에만 집중하자는 것이다. 함께 모여서 재림을 준비하며 말씀을 읽고 기도만 하자는 것이다. 성경을 연구하고 배우며, 그 말씀을 따라 기도하며 신앙을 더욱 견고하게 하자는 것이다. 이렇게 말하는 것이 맞는 말 같다. 신앙이 좋아서 이렇게 표현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오해이다. 신앙은 교회에서 점검되고 세워지는 것이 아니다. 신앙은 교회 생활에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교회에서 배운 믿음의 도리가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현장에서 점검되어야 한다. 데살로니가 교회의 문제는 일과 신앙의 분리이다. 이 둘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일은 신앙의 토대 위에서 행해져야 하고, 섬겨져야 한다. 신앙과 일은 불가분리의 관계이다.

그래서 바울은 “게으르게 행하여 도무지 일하지 아니하고 일을 만들기만 하는 자들”에게 경고한다(11절). 이들은 마땅히 자신이 해야 할 일을 하지 않고 소홀히 여기는 사람들이다. 자신이 할 일을 하지 않으니 다른 사람이 그 일을 처리해야 하는 것이다. 결국 다른 사람이 무언가를 하도록 일을 만드는 사람이다. 주의 가르침은 내 일을 먼저 돌아보고, 이웃의 일도 돌아보라는 것이다. 그런데 데살로니가 교회의 경우는 내 일도 하지 않고, 이웃도 돌보지 않는 경우이다. 이들은 일하지 않는 사람들이다.

바울은 분명한 지침을 준다. “누구든지 일하기 싫어하거든 먹지도 말게 하라”(10절) “조용히 일하여 자기 양식을 먹으라”(12절) 바울도 본을 보였다. 무질서하게 행하지 않았다(7절). 누구에게서도 음식을 값없이 먹지 않았다(8절). 수고하고 애써 주야로 일했다(8절). 아무에게도 폐를 끼치지 않았다(8절). 바울이 이렇게 행동한 것은 권리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신앙의 오해가 없도록 기꺼이 포기한 것이다.

바울이 본을 보여준 것처럼 우리도 살아야 한다. 조용히 자기 일을 하며, 자기 손으로 수고한 것을 먹으며, 그것으로 이웃을 사랑하고 섬기는 삶을 살아야 한다. 하나님은 우리를 통해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지 증명하고 복음을 선포하기를 원하신다. 오늘 나에게 주어진 일들을 성실히 행하며, 다른 사람이 내가 행한 일을 다시 손보지 않아도 되도록 살자. 그리고 주의 오심을 준비하는 종말을 살아가는 성도답게 오늘 하루에 충실함으로 내일을 준비하며 살기를 기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