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막 14:51) 한 청년이 벗은 몸에 베 홑이불을 두르고 예수를 따라가다가 무리에게 잡히매
(막 14:52) 베 홑이불을 버리고 벗은 몸으로 도망하니라

예수님을 따르던 한 청년이 예수님이 체포되는 순간 두르고 있던 홑이불을 벗어버리고 벗은 몸으로 도망한다. 한 청년으로 소개된 사람이 누굴까? 다양한 추측들이 있다. 그 당시 베 홑이불은 좀 부유한 사람들이 사용하는 겉옷이었다 한다. 마가는 다락방을 소유한 어머니를 두었다. 나름 많은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큰 공간이 있었다. 마가는 조금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난 사람이었을 것이다.

베 홑이불을 벗어버리고 도망한 한 청년은 마가로 이해한다. 마가가 자신의 부끄러운 과거 모습을 기록하고 있을 것이라는 해석이다. 벗은 몸인데도 겉에 입은 베 홑이불을 벗어버리고 도망한 것은 그의 마음이 급했기 때문이다. 도망하기에 거추장스럽고, 달음질하기에 불편해서 벗어 던진 것이다. 예수님이 체포되는 모습을 보면서 위협을 느꼈기에 급히 도망한 것이다.

다급하게 도망한 것은 생명에 대한 위협을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예수님이 체포되는 모습이 위협적이었다는 뜻이다. 자신도 스승처럼 체포될 수 있겠다고 생각하고 살고자 도망한 것이다. 제자는 주님을 따르는 사람이다. 하지만 제자들은 다 예수님을 버리고 도망한다. 예수님이 말씀하신 대로 다 도망했다. 눈에 보이는 위협에 무서워 도망한 것이다.

아직 자신들의 생각에 사로잡혀 있기 때문이다. 주님은 겟세마네에서 시험에 들지 않게 “깨어 있으라”, “깨어 기도하라”고 말씀하셨다. 기도를 통해 깨어 있음으로 ‘하나님 아버지의 뜻’을 따르라는 교훈이다. 제자들은 깨어 있어야 할 시간에 피곤하여 잠을 잤다. 눈을 뜰 힘도 없었다. 그래도 기도해야 했다. 준비할 시간에 준비하지 못하니 자연스럽게 도망하고, 넘어진 것이다.

제자들의 모습이 다양하다. 베드로는 자신의 힘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칼을 사용했고, 가룟 유다는 위선적으로 스승을 팔았다. 다른 제자들은 침묵하며 비겁하게 행동한다. 다 도망했다. 우리는 어떤가? 하나님이 부르신 소명을 마음에 새기고 묵묵히 따라가고 있는가? 작은 장애물을 만나고, 손해가 발생해도 십자가의 길을 묵묵히 걸어가는가.

우리의 믿음은 반드시 신앙의 행동으로 나타나게 되어 있다. 깨어 하나님과 날마다 교제하는 사람은 시험이 다가오는 순간을 믿음으로 이겨낼 수 있다. 하나님과 교제를 소홀히 하고 아버지의 뜻을 품지 않으면 순식간에 무너질 수 있다. 믿음의 길은 호언장담과 자신감으로 걷는 길이 아니다 하나님의 긍휼히 여겨주시는 은혜와 믿음으로 걷는 길이다.

예수님은 체포하러 온 사람들 앞에서도 당당했다. 아버지의 뜻을 따라 걸어가는 길이니 후회도 없고 뒤돌아볼 이유도 없다. 자신이 예수임을 알리고, 자신을 체포하도록 기쁨으로 자신을 내어주신다. 마지못해 따르고, 결정적인 순간에 도망하는 삶과는 비교할 수 없는 모습이다. 예수님은 우리가 생활 중에 예수 믿는 냄새를 드러내기를 원하신다. 당당하게 믿음을 보여주길 원하신다.

제자의 삶에서 중요한 것은 말씀과 기도로 깨어 있는 것이다. 어려움을 만나도 도망하지 않고 희생을 각오하고 믿음으로 따라가는 것이 제자의 삶이다. 두려운 시험 거리가 다가올 때 도망하지 않으려면 하나님과 친밀한 교제가 있어야 한다. 친밀한 교제의 끈이 나를 힘있게 한다. 벌거벗은 수치스러운 모습으로 도망하는 삶이 아니라 당당하게 예수님을 증거하는 삶을 살기를 기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