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눅 14:18) 다 일치하게 사양하여 한 사람은 이르되 나는 밭을 샀으매 아무래도 나가 보아야 하겠으니 청컨대 나를 양해하도록 하라 하고

어떤 사람이 큰 잔치를 베풀고 많은 사람을 청했다. 그런데 청한 사람들은 동일한 이유로 거절한다. 정중하게, 예의 바르게 거절한다. 그들에게는 나름의 이유가 있었다. 엄밀하게 생각하면 이유라기보다는 핑계였다. 잔치에 참여하고 싶지 않았다. 잔치에 참여하는 것이 시간 낭비라고 생각했을지 모른다. 환경보다는 마음이 더 문제였다.

우리에게도 하나님이 부르실 때 거절할 때가 있다. 그때 문제는 우리들의 영적 욕구이다. 거듭나지 않으면 영적 욕구 자체가 살아나지 않는다. 큰 잔치를 준비하고 초청을 해도 가고 싶은 마음이 없다. 영적 미각이 무뎌져 있는 확실한 증거이다. 그리고 피할 길을 찾는다. 이미 초청장을 받았고, 참석해야 할 시간은 다 되었다. 가고 싶은 마음이 없으니 정중하게 거절할 핑계할 거리를 찾는 것이다.

초청받은 모든 사람이 한결같이, 단합대회라도 한 것처럼 거절한다. 그들의 공통적인 이유는 세 가지이다. 밭을 샀고, 소를 시험해 보아야 하고, 장가를 갔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는 우리가 일상에서 만나는 일들이다. 아주 그럴듯하게, 그리고 자연스럽게 큰 잔치에 참여해 달라는 초청을 거절한 것이다.

첫째, 밭을 산 것은 재물을 얻은 것이다. 우리들의 삶은 재물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재물을 모으기 위해 분주한 삶을 산다. 재물 때문에 잔치 초청을 거절할 수 있다. 둘째는 소를 사서 시험해 보아야 하기에 거절한다. 소는 밭을 갈고 농사의 일을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먹거리를 준비하는 일에 필요하다. 소를 시험해 본다는 것은 호흡을 맞춰 본다는 것이다. 길을 들이는 과정이다. 먹고 사는 문제로 인해 잔치 초청을 거절한 것이다. 셋째, 장가를 가서 거절한다. 결혼은 인생의 매우 중요한 전환기이다. 행복한 삶을 위해 해야 할 일들이 많다. 행복과 즐거움을 위해 잔치 초청을 거절한 것이다.

“재물, 먹거리, 행복”은 모든 사람이 필요로 하는 것이다. 이 세상의 필요 때문에 하늘 잔치에 참여하라는 초청을 거절하는 것이다. 이 땅의 필요를 무시할 수는 없다. 살아가는데 최소한 필요한 것이 있다. 그래서 이것은 우선순위의 문제이다. 이 땅의 필요와 하늘의 필요가 충돌할 때 하늘의 필요를 선택하라는 권면이다. 당장 눈에 안 보여도 영원을 결정하는 길이다. 무뎌진 영적 감각이 되살아나고 우리의 관심사가 이 땅에서 하늘로 옮겨지길 소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