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8:11) 대답하되 주여 없나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아니하노니 가서 다시는 죄를 범하지 말라 하시니라]
간음한 여인을 성전에서 가르치고 계신 예수님 앞에 끌어온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여인을 정죄하고 모세의 율법대로 심판하고자 한다. 동시에 예수님을 고발한 조건도 얻기 위해서 시험을 하고 있다. 사랑과 용서의 복음을 선포하신 예수님이 생명을 살리기 위해 애쓴다면 율법을 어긴 사람으로 고발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성전은 죄인이 하나님 앞으로 나아가 죄를 씻고 유혹이 많은 세상에서 다시 바르게 살아갈 힘을 얻는 공간이다. 사랑과 긍휼의 하나님을 만나는 자리이다. 그런데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은 이런 성전을 자신들의 목적을 달성하고 자신들의 필요를 위해 사용한다. 누구보다 율법을 잘 알고 계신 예수님께 모세의 율법은 이렇게 말했다는 사실을 부각하며 위협한다.
주님은 위기의 순간에도 당황하지 않으시고 차분히 여유를 가지고 대처하신다. 조용히 허리를 굽혀 땅에 무언가를 쓰신다. 그리고 성난 군중에게 말씀하신다.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먼저 돌로 치라” 이 말씀을 들은 군중들은 자신을 돌아볼 기회를 얻었다. 그리고 모든 사람이 양심의 가책을 느끼고 어른으로부터 시작하여 젊은이까지 한 사람씩 성전을 나갔다.
어른으로부터 시작했다. 자신을 돌아보는 것에는 어른이 먼저였다. 그리고 그 나중이 젊은이였다. 결국 모두 자신들을 살펴보니 자신들도 죄인임을 확인한 것이다. 주님의 말씀을 듣기 전에, 간음한 여인을 끌어 오기 전에 자신을 살폈어야 한다. 다른 사람의 눈에 있는 티를 빼려고 하기 전에 먼저 내 눈에 있는 들보를 꺼내야 한다. 비판받지 않으려면 비판하지 말아야 한다. 말씀을 마음에 바르게 새기고 말씀이 교훈하는 대로 살아야 한다.
주님도 간음한 여인을 정죄하지 않으셨다. 주님이라면 정죄할 수 있었을 텐데 정죄하지 않으신다. 사람을 변화시키는 것은 정죄가 아님을 깨닫게 해 주신다. 사람을 변화시키는 것은 용서의 은총이다. 주님은 죄를 지은 여인을 용서하시고, 다시는 죄를 범하지 말라고 하신다. 오늘을 교훈 삼아서 죄짓지 말고 거룩하게 살라는 당부이다.
우리는 용서받은 죄인이다. 동시에 여전히 용서받아야 할 사람들이다. 그렇다면 주변의 사람들을 정죄하고 넘어뜨리기보다 말씀의 거울 앞에서 자신을 살피며 거룩하게 다듬어야 한다. 분주한 생활 중에 잠시의 여유를 갖고 나를 살펴야 한다. 분주하게 계속 질주만 하면 사고가 날 수 있다. 잠시 멈추어 말씀과 하나님 앞에서 자신을 살펴야 한다.
용서의 은총 아래 사는 하루이다. 하나님께 선물 받은 하루이다. 하나님이 주신 선물이 선물다울 수 있도록 살고 싶다. 예수의 향기가 진하게 풍기고, 사랑만 가득한 하루가 되어 어두운 세상이 생명의 빛으로, 사랑의 삶으로 가득 채워지길 기도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