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눅 20:25) 이르시되 그런즉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 하시니

예수님 당시 종교 지도자들은 집요하고 간교했다. 어떻게 해서든지 예수님을 넘어뜨리기 위해 방법을 찾았다. 다양한 질문을 통해 예수님이 실수하기만을 기다렸다. 그때마다 예수님은 진리를 말씀하시고 가르치셨다. 흐트러짐 없이 하나님의 아들로서 하나님의 뜻을 말씀하셨다. 예수님이 우리에게 보이신 삶을 통해 오늘 우리는 어떤 삶을 살고 있는지 되돌아 보아야 한다.

예수님께 가이사에게 세를 바치는 것이 옳은지 옳지 않은지 질문한다. 황제에게 바치는 인두세가 적법하냐는 질문이다. 예수님은 이 질문에 대해 세상 권력에 대해 그리스도인이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하는지 가르쳐 주신다. 모든 권세는 하나님에게서 나온다. 이것에 근거해서 예수님은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을 하나님에게 드리라고 말씀하신다.

이 말씀은 우리의 삶을 두 영역으로 구분하여 살라는 말씀이 아니다. 로마 황제가 다스리는 영역이 있고, 하나님이 다스리는 영역이 있다는 말씀이 아니다. 하나님은 세상의 권력과 질서를 사용하여 섭리하시고 역사하신다. 우주 만물을 창조하시고, 그 세계가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목적을 따라 존재하도록 다스리시고 보존하신다.

하나님과 세상을 분리할 수 없다. 예수님은 믿고 따르는 제자들에게 세상에서 도피하여 수도원으로 들어가라고 하지 않으셨다. 악이 성행하는 세상이지만, 그 속에서 그리스도인답게 살라고 하신다. 그래서 예수님은 우리를 세상으로 보내시면서 이리 떼 속으로 보내는 것 같다고 하셨다. 그만큼 위험하고 악의 도전이 강한 곳이란 의미이다.

악한 세상 속에서 성도답게 살아가는 비결은 뱀 같은 지혜와 비둘기 같은 순결함을 갖은 것이다. 하나님 말씀을 바르게 이해하고 그 말씀의 교훈을 따라 지혜롭게 살아야 한다. 하나님의 말씀이 우리의 지혜이다. 언제나 하나님 앞에서 나를 살펴 거룩하고 깨끗한 삶을 살아야 한다. 외모가 아니라 중심을 살피시는 하나님 앞에서 마음가짐까지 거룩하도록 경건의 훈련을 하며 살아야 한다.

예수님은 세상 권력에 관해 판단하면서 무조건 거부하거나, 무조건 순응하라고 말씀하지 않으신다. 상황을 잘 살펴야 한다. 불법을 요구할 때는 단호하게 저항해야 하지만, 그렇지 않을 때는 철저하게 법질서를 지켜야 한다. 가이사에게 내야 할 세금은 가이사에게 내야 한다. 동시에 성도로서 마땅히 하나님께 드려야 할 것은 하나님께 드려야 한다.

교회 생활과 가정생활도 마찬가지이다. 이것은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다. 교회에만 집중하는 말씀도 아니며, 가정에만 집중하라는 말씀도 아니다. 교회에 헌신하는 만큼 가정에도 충실해야 한다. 가정생활을 소중하게 여기는 만큼 신앙생활도 열심히 해야 한다. 주님이 하루라는 24시간을 아끼고 또 아끼며 생활하신 것처럼 성도는 더 열심히 살아야 한다.

하나님의 뜻은 세상 속에서 성도답게 사는 것이다. 세상과 분리되는 것을 원치 않으시다. 성도의 삶을 보면서 세상 사람들이 부러워하고 본받고 싶도록 살아야 한다. 이웃의 어려움을 외면하지 않고 돌아보면서 더욱 주의 일에 충성하는 사람이 되라고 하신다. 하나님을 사랑하면서 이웃을 내 몸처럼 사랑하는 것이다. 예수님이 자신의 모든 것을 내어주신 것처럼 ‘십자가 고난과 부활’을 묵상하면서 주님이 걸으신 길을 따라 걸어가길 기도한다.